알아두면 좋은 지원금

사회 초년생이 모르면 후회할 정부 지원 사업!

타고난단팥빵 2021. 10.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사회초년생들이 모르면 후회할만한 정부지원사업에 대해 소개해 볼까 해요!

정부에서는 생각보다 사회 초년생들을 위해 지원을 많이 해주고 있어요. 잘 찾아보시면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들이 있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정부 지원 사업은 초년생이라면 거의 다 포함될 청년 내일 채움 공제라고 해요!!

보면 인터넷에 많이 돌아다니기는 하는데 회사에 입사하신 분들께 아시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모르거나 잘 알지 못해서 신청을 못하시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모르시는 분들 위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사업절차

청년 내일 채움 공제는 보시다시피 입사 6개월 미만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사업이에요.

청년 본인이 2년간 300만원(매월 12만 5천원)을 적립하면 정부(취업지원금 600만원)와 기업(기업기여금 300만원)이 공동 적립→ 2년 후 만기 공제금 1,200만 원 + 이자 수령을 하실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내채 공이 시작되었던 18년에서 20년까지만 시행하고 끝나버린 3년형을 가입했는데요.

제가 시작했을 때만 해도 2년형은 만기금이 1600만원이고 3년형은 3000만원이었어요! 그런데 21년 들어서는 3년형이 사라지고 2년형은 1200만 원이 되었더라고요! 아무래도 너무 금액이 큰 지원사업이다 보니 점점 축소되고 있는 모양이에요 ㅠㅠ  나중 되면 없어질 수도 있을 것 같은... 

 

신청하실 때 주의하셔야 할 점은 청년 정규직 채용일 기준으로 6개월 이내에 신청 및 청약 신청까지 모두 완료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회사다 싶으면 빠르게 결정하는 게 좋습니다.

 

제일 중요한 건 수량 소진 시 신청조차 하지 못한답니다

 

(또 가입 완료 후로부터 2년 뒤에 공제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이 아깝다 하시면 빠르게 신청하세요 저는 한두 달이 아까워서 빠르게 처리해버렸어요ㅎ...)

 

지원대상

지원대상의 경우 위에 나와있는 대로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로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입니다. 군필자의 경우 39세까지 신청하실 수 있기 때문에 군대 다녀오신 분들도 여유롭게 생각하시고 신청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 나는 첫 회사입사는 아니지만 회사에 들어온 지 얼마 안 되었다 하시는 분들도 가입하실 수 있는데요!

그 기준은 전 회사 퇴사 시 6개월이 지난 시점으로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이걸 모르셔서 나는 안 되겠지 하고 신청 못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ㅠㅠ!

 

하지만 지역에서 하는 청년 지원사업과 중복이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으니 확인 후 신청하세요.

예로 들면 디딤돌 희망 두배 통장의 경우 중복이 안돼서 희망 두배 통장을 하고있는 청년에게는 지원하지 않아요. 희망두배통장을 중도해지해도 내채 공은 신청할 수 없으니 이런 점들을 확인하셔서 자신에게 이득적인 쪽으로 결정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청년뿐만 아니라 기업에도 기준이 있는데요! 

○ 상시 근로자 5인 이상의 중소기업 기본법 上 중소기업

○ 다만, 다음의 경우는 가입이 제한됩니다.
 - 소비ㆍ향락업, 부동산업, 기타 겜블링 및 베팅업, 무도장 운영업 등
 - 단란주점, 유흥주점, 노래 연습장업, 부동산업, 비영리 개인(어린이집) 및 법인(의료법인) 등
 - 3개월 미만 계절적, 일시적 인력수요 사업체(예: 계절적 농수산물 가공업체)
 -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한 공공기관 및 지방공기업법에 따른 공기업
 - 초·중등 교육법,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
 - 외국인 투자기업으로서 중소기업 기본법 상 '중소기업'이 아닌 기업

 

등등 조금 더 있는데 사장님과 직계가족이 아니어야 하고..

월급이 월 300 초과 지면 안 되고.. 연 3600이 되면 안 되고...  등등 이 있는데 이런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신청 방법 신청 서류에 관한 내용을 적어볼까 해요.

우선 겁먹지 말고 한번 자신이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포함되어있다면 망설이지 마시고 신청해보세요 :-)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

 

반응형

댓글